본문 바로가기
IT

Spring boot란?

by ¢Å‰¤㏄ 2021. 11. 18.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 프로젝트를 복잡한 설정없이 쉽고 빠르게 만들어주는 라이브러리

 

■ Spring 구조

 

■ Spring boot 설명

스프링(Spring)을 더 쉽게 이용하기 위한 도구

스프링 이용하여 개발을 할 때, 이것저것 세팅을 해야 될 요소들이 많음

->Spring Boot는 매우 간단하게 프로젝트를 설정할 수 있게 하여, Spring 개발을 조금 더 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Spring boot 장점

① 라이브러리 관리의 자동화

  - 스프링 부트의 Starter 라이브러리를 등록해서 라이브러리의 의존성을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② 라이브러리 버전 자동 관리

  - 기존에는 스프링 라이브러리의 버전을 하나하나 직접 입력해야 했지만, 스프링 부트는 pom.xml에 스프링 부트 버전을 입력하면 스프링 라이브러리 뿐만 아니라 서드 파티 라이브러리들도 호환되는 버전으로 알아서 다운

    <parent>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parent</artifactId>
        <version>2.1.3.RELEASE</version>
    </parent>

 

③ 설정의 자동화

  - 스프링 부트는 @EnableAuto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선언해서 스프링에서 자주 사용 했던 설정들을 알아서 등록

 

 내장 Tomcat

  - 스프링 부트는 Tomcat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SpringBootApplication어노테이션이 선언되어있는 클래스의 main() 메소드를  실행하는 것만으로 서버를 구동시킬 수 있습니다.  내장 톰캣을 사용하려면 특별한 설정없이 Web Starter 의존성만 추가해주면 됨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validation</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web</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jdbc</artifactId>
        </dependency>

 

⑤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한 JAR

  - 웹 프로젝트라면 WAR 파일로 패키징해야하지만 스프링 부트는 내장 톰캣을 지원하기 때문에 JAR 파일로 패키징해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lij VS Eclipse (IDE)  (0) 2021.11.24
Git 사용법  (0) 2021.11.12
Git 이란  (0) 2021.11.12
Apache Spark란?  (0) 2021.11.08
Cookie vs Local Storage vs Session Storage  (0) 2021.11.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