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어린아이들에게서 ADHD가 자주 나타나고 그에 따른 치료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습니다.
많은 분들이 많이 알고계시는 ADH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정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는 장애로, 지속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증상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아동기 내내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이 계속되며 일부는 청소년기와 성인기가 되어서도 증상이 남는다.
전 세계적으로 학령기 아동 청소년의 ADHD 유병률은 약 3~8% 정도다. 남아가 여아보다 유병률이 약 4~6배 정도 더 높고 국내 연구에서도 초등학생의 5%가 ADHD 증상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제시했다. ADHD가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기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30~70%에 이른다.
■ 원인
정확한 원인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뇌영상 촬영에서 정상인에 비해 활동과 주의집중을 조절하는 부위의 뇌 활성이 떨어지는 소견이 관찰되며, 이 부위의 구조적 차이도 발견되고 있다.
ADHD로 진단 받은 아이의 부모들은 자책과 비난에 노출되기 쉽다. 그러나 원인은 육아 방법에 의하기 보다는 유전적인 경향과 더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이 질환은 가족력이 있으며 몇몇 유전자가 이 질환의 발병과 관련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카테콜아민 대사의 유전적인 불균형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정 환경적 요인은 이 질환의 발병과 악화에 연관될 수도 있다. 아직 많은 부분이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몇 가지 가능성 있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흡연, 음주, 약물 : 환자 어머니의 산전 흡연 노출(직간접흡연)은 이 질환의 발병과 관련이 있다. 임신 중의 술과 약물은 태아의 신경세포의 활성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
2. 학동기 이전의 특정 독소의 노출: 특히 페인트나 오래된 건물의 수도관에서 발견되는 납의 노출은 이 질환뿐만 아니라 아이의 분열적이고 폭력적인 행동과도 관련 있다.
3. 음식첨가물: 인공색소와 식품보존제와 같은 음식첨가물 또한 과잉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설탕은 과잉행동의 유발 물질로 흔히 의심되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증거는 없다.
■ 증상
1. 주의력 결핍의 증상
- 주의 집중을 못한다.
- 멍하게 다른 생각을 한다.
- 남의 이야기를 귀담아듣지 않는다.
- 학습 놀이나 놀이 중에 주의력이 쉽게 분산된다.
- 꼼꼼하지 못하고 부주의한 실수가 잦다.
- 지시대로 따라 하는 것을 잘 못한다.
- 주어진 과제를 끝마치지 못한다.
- 주어진 일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못한다.
- 물건을 자주 잃어버린다.
- 해야 할 일이나 약속 등을 잘 망각한다.
2. 과잉행동 및 충동성의 증상
- 정신적 노력이 많이 드는 일을 귀찮아한다.
- 발에 바퀴가 달린 것처럼 계속 움직인다.
- 자리에 가만히 앉아있지 못한다.
- 손발을 꼼지락대고 만지작거린다.
- 지나치게 말이 많다.
- 질문이 채 끝나기 전에 성급하게 대답한다.
- 순서를 지키는 것을 힘들어한다.
-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간섭한다.
- 조용히 놀지 못한다.
- 참고 기다리는 것이 어렵다.
■ 치료
ADHD에는 약물치료가 효과적이다. 80% 정도가 분명한 호전을 보이는데, 집중력, 기억력, 학습능력이 전반적으로 좋아진다. 또 과제에 대한 흥미와 동기가 강화되어 수행능력이 좋아진다. 더불어 주의 산만함, 과잉 활동과 충동성은 감소되고, 부모님과 선생님에게도 잘 따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게 된다. 하지만 약물 치료로만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 아이를 도와주실 수 있게 하는 부모 교육, 아동의 충동성을 감소시키고 자기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인지행동 치료, 기초적인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치료, 놀이치료, 사회성 그룹치료 등 다양한 치료가 아이의 필요에 맞게 병행되는 것이 좋다.
ADHD는 요즘에는 굉장히 흔하게 발견되는데요 정보 잘 참고하시어 유사한 증상이 있다면 적극적인 치료가 도움이 될듯합니다. 감사합니다.
'질병 및 상해,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병정보] 뇌척수염이란? (0) | 2021.12.21 |
---|---|
[질병정보] 뇌수막염이란? (0) | 2021.12.19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이란? (0) | 2021.12.10 |
조현병(정신분열증, schizophrenia)이란? (0) | 2021.12.09 |
혈우병(hemophilia)이란? (0) | 2021.12.07 |
댓글